The Sound of Fertility
거름 내는 소리
2022. JUN. 9th ~ AUG.5th
Sanjicheon Gallery, Jeju








Host & Organizer
주최, 주관
Jeju, Jeju Foundation for Art and Culture, Sanjicheon Gallery
제주시, 제주문화재단, 산지천 갤러리

Curator 
큐레이터
Yeonwoo Kim, Hyerim Hwang
김연우, 황혜림

Artists
아티스트
Gayeon Park, Yesun Shin, Daseul Lee, Hanna Lee
박가연, 신예선, 이다솔, 이하나

Moderator 
모더레이터

Dr. Kyung Heo
허경

Graphic Design
그래픽 디자인
The Flat
더플랫


Death gives birth to new life. The decay of organic matter, which can be considered the final form of life, becomes fertile compost nurturing another life. Perhaps the geological formations of Jeju, such as its islands formed by volcanic eruptions, are evidence of the cyclical nature of creation and destruction.

Words like pandemic and climate crisis, threatening both individual lives and the global community, are no longer mere textual dangers. Addressing these crises will start not with more consumption or production for the sake of 'better,' but with an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the cycles of nature, the very cycle of creation and destruction.

Embedded in Jeju's traditions, such as 'Geureum Naeneun Sori' (The Sound of Fertility) and 'Dotbongshi,' is this ecological cycle spirit.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Geureum Naeneun Sori》,refers to a farming song from Jeju's past, where people sang while spreading or folding compost on the fields. Everyday mundane items like animal and human waste, ash from hearths, rice husks, and charcoal, all become compost to purify the land. People sing songs, diligently work their bodies, select the land, and return the compost back to the earth.

The participating artists of the exhibition, Gayeon Park, Yesun Shin, Daseul Lee, and Hanna Lee, engage in works aimed at remembering the insignificant and fleeting existence of life or objects, each in their own way. They mourn finite existence, borrowing materials from nature temporarily for pieces like a skein of thread or a pause, without forcibly holding onto their disappearance or excessively commemorating them. The role of the artist here is merely to acknowledge such vanishing and impermanence and to assist them in returning to compost. The voices echoing through their performances are the 'Sound of Fertility.'

Through the various voices of four artists capturing the memories and sensations of decay and disappearance, while affirming the cycle of life, we hope this exhibition serves as a catalyst for awareness of the humble and reflective attitude we should adopt in the age of environmental crisis.

죽음이 있기에 새로운 생명이 태어날 수 있다.
생명의 마지막 모습이라 할 수 있는 유기물의 부패는 또 다른 생명을 길러내는 비옥한 거름이 된다. 어쩌면 화산 분출에 의한 섬이라는 제주의 지형 자체가 생성과 소멸의 순환의 고리의 증거라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팬데믹과 기후위기 등 개인의 삶과 지구 공동체를 위협하는 이 무시무시한 단어들은 더이상 텍스트로만 존재하는 위험이 아니다. 이러한 위기를 대처하는 방식은 더 나은 것'을 위한 또 다른 소비나 생산보다는 자연의 순환고리, 즉 생성과 소멸의 순환에 대한 인식과 성찰에서 시작될 것이다.

'거름 내는 소리', '돗통시' 등 제주 전통에는 이러한 생태 순환 정신이 배어 있다. 이번 전시의 타이들인 《거름 내는 소리》는 제주 전봉 노동요로서 과거 거름을 논밭에 실어 내거나 펼쳐 내면서 부르는 농요의 제목이기도 하다. 동물과 인간의 배설물, 구들의 재, 쌀겨, 깻묵 등 일상의 하찮은 것들은 거름이 되어 토지를 정화한다. 사람들은 노래를 주고 받으며 바지런히 몸을 놀려 땅을 고르고 거름을 만들어 땅으로 돌려보낸다.

전시의 참여작가 박가연, 신예선, 이다슬, 이한나는 주목받지 못하는 하찮은 생명이나 대상에 주목하여 생성하고 소멸하는 일시적 존재들을 각자의 방식으로 기억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유한한 존재를 애도하며 명주실이나 휴과 같이 자연의 재료를 잠시 빌리고 그것들로 제작한 작품이 스러져 없어지는 것을 억지로 붙잡아 두거나 과하게 기념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작가의 역할이란 그러한 사라짐과 덧없음을 인정하고. 그것들이 다시 거름으로 돌아가기를 도와주는 것뿐이다. 수행 속에 들려오는 작가들의 목소리는 '거름 내는 소리'이다.

죽음과 소멸의 기억과 감각을 포착하고 생명의 순환을 긍정하는 4명의 작가의 다양한 목소리를 통해 환경위기의 시대에 우리가 가져야 하는 겸허하고 반성적 태도에 관해 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Blog



Fashion Knowledge Hoarder
Asipiring to be an Insight Gardener




패션, 텍스타일과 관련된 정보나 개인적인 생각들을 기록합니다
Information and Thoughts on Fashion and Textile










Working in Process






















Yeonwoo Kim



Curator / Researcher / Maker
Co-Founder of the Textum Club





Experience

2024Textum Club 
텍스텀 클럽
Directing

2023《The Geography of Objets》, Cheongju Craft Biennale 2023,  Cheongju
《사물의 지도》,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청주
Curating

2022《The Sound of Fertility》, Sanjicheon Gallery, Jeju
《거름 내는 소리》, 산지천갤러리, 제주
Curating

2022“Art-Fashion, toward Multiple Gazes”,
Research program funded by Art Council Korea
“예술-패션, 다중적 응시를 향해”, 전시사전연구 지원사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Researching

2022《All About Attitude》,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Culture Station Seoul 284
《사물을 대하는 태도》,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문화역서울284
Assistant Curating

2021《This is Contemporary》, Seoul Foundation for Art and Culture
게임형 온라인 전시 《This is Contemporary》, 서울문화재단
Curating

2021《All About Attitude》,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Milan
《사물을 대하는 태도》,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밀라노
Assistant Curating



Work

2018Your Body is a Becoming MachineFashion Practice
2017The Melted EgoFashion Practice
2016The Lived BodyFashion Practice
2015Psychological First Aid KitFashion Practice



Education

2016 - 2018Royal College of Art
영국왕립예술학교
MA Fashion Womenswear
패션 여성복 석사

2015 - 2016
Central Saint Martins College of Art and Design
센트럴 세인트 마틴 컬리지 오브 아트 앤 디자인
Graduate Diploma in Fashion
패션 석사 준비과정

2007 - 2012Yonsei University
연세대학교
BA Philosophy / BS Clothing and Textiles
철학과 / 의류환경학과




Home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