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und of Fertility
거름 내는 소리
2022. JUN. 9th ~ AUG.5th
Sanjicheon Gallery, Jeju
주최, 주관
제주시, 제주문화재단, 산지천 갤러리
큐레이터
김연우, 황혜림
아티스트
박가연, 신예선, 이다솔, 이하나
모더레이터
허경
그래픽 디자인
더플랫
Words like pandemic and climate crisis, threatening both individual lives and the global community, are no longer mere textual dangers. Addressing these crises will start not with more consumption or production for the sake of 'better,' but with an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the cycles of nature, the very cycle of creation and destruction.
Embedded in Jeju's traditions, such as 'Geureum Naeneun Sori' (The Sound of Fertility) and 'Dotbongshi,' is this ecological cycle spirit.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Geureum Naeneun Sori》,refers to a farming song from Jeju's past, where people sang while spreading or folding compost on the fields. Everyday mundane items like animal and human waste, ash from hearths, rice husks, and charcoal, all become compost to purify the land. People sing songs, diligently work their bodies, select the land, and return the compost back to the earth.
The participating artists of the exhibition, Gayeon Park, Yesun Shin, Daseul Lee, and Hanna Lee, engage in works aimed at remembering the insignificant and fleeting existence of life or objects, each in their own way. They mourn finite existence, borrowing materials from nature temporarily for pieces like a skein of thread or a pause, without forcibly holding onto their disappearance or excessively commemorating them. The role of the artist here is merely to acknowledge such vanishing and impermanence and to assist them in returning to compost. The voices echoing through their performances are the 'Sound of Fertility.'
Through the various voices of four artists capturing the memories and sensations of decay and disappearance, while affirming the cycle of life, we hope this exhibition serves as a catalyst for awareness of the humble and reflective attitude we should adopt in the age of environmental crisis.
생명의 마지막 모습이라 할 수 있는 유기물의 부패는 또 다른 생명을 길러내는 비옥한 거름이 된다. 어쩌면 화산 분출에 의한 섬이라는 제주의 지형 자체가 생성과 소멸의 순환의 고리의 증거라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팬데믹과 기후위기 등 개인의 삶과 지구 공동체를 위협하는 이 무시무시한 단어들은 더이상 텍스트로만 존재하는 위험이 아니다. 이러한 위기를 대처하는 방식은 더 나은 것'을 위한 또 다른 소비나 생산보다는 자연의 순환고리, 즉 생성과 소멸의 순환에 대한 인식과 성찰에서 시작될 것이다.
'거름 내는 소리', '돗통시' 등 제주 전통에는 이러한 생태 순환 정신이 배어 있다. 이번 전시의 타이들인 《거름 내는 소리》는 제주 전봉 노동요로서 과거 거름을 논밭에 실어 내거나 펼쳐 내면서 부르는 농요의 제목이기도 하다. 동물과 인간의 배설물, 구들의 재, 쌀겨, 깻묵 등 일상의 하찮은 것들은 거름이 되어 토지를 정화한다. 사람들은 노래를 주고 받으며 바지런히 몸을 놀려 땅을 고르고 거름을 만들어 땅으로 돌려보낸다.
전시의 참여작가 박가연, 신예선, 이다슬, 이한나는 주목받지 못하는 하찮은 생명이나 대상에 주목하여 생성하고 소멸하는 일시적 존재들을 각자의 방식으로 기억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유한한 존재를 애도하며 명주실이나 휴과 같이 자연의 재료를 잠시 빌리고 그것들로 제작한 작품이 스러져 없어지는 것을 억지로 붙잡아 두거나 과하게 기념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작가의 역할이란 그러한 사라짐과 덧없음을 인정하고. 그것들이 다시 거름으로 돌아가기를 도와주는 것뿐이다. 수행 속에 들려오는 작가들의 목소리는 '거름 내는 소리'이다.
죽음과 소멸의 기억과 감각을 포착하고 생명의 순환을 긍정하는 4명의 작가의 다양한 목소리를 통해 환경위기의 시대에 우리가 가져야 하는 겸허하고 반성적 태도에 관해 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